성공에는 여러 요소가 작용한다. 운이 따라줄 수도 있고, 인연이 큰 역할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 지속 가능한 성공은 결국 한 가지로 수렴된다. 바로 실력이다. 당신이 실제로 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 그렇다면 진짜 실력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재미가 실력으로 바뀌는 순간"
마이크로소프트의 공동 창업자, 빌 게이츠는 13살이라는 이른 나이에 프로그래밍을 시작했다. 그의 전환점이 된 곳은 ‘C-Cubed (Computer Center Corporation)’이라는 회사였다. 게이츠와 그의 친구 폴 앨런은 이 회사와 협업하여, 시스템의 버그를 찾아주는 조건으로 컴퓨터를 무제한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얻었다. 게이츠는 컴퓨터 앞에서 밤을 새우며 코딩을 연습했다.
이런 무수한 시간과 반복이 그의 실력으로 이어졌을까?
『The Little Book of Talent』의 저자 다니엘 코일은 이 질문에 대해 REPS라는 네 글자로 답한다.
"탁월한 사람들이 실력을 쌓는 비결"
REPS는 다음 네 가지 핵심 요소의 약자다.
• R: Reaching and Repeating — 한계를 넘어서 반복한다.
• E: Engagement — 몰입한다.
• P: Purposefulness — 목표 지향적이어야 한다.
• S: Strong, Speedy Feedback — 강력하고 신속한 피드백이 제공된다.
첫째, Reaching and Repeating.
효과적인 연습은 지금 할 수 있는 것만 반복하지 않는다. 조금씩 어려운 것, 아직 잘 못하는 부분을 계속해서 자극해야 한다.
게이츠는 이미 아는 코드만 반복하지 않았다. 자신이 아직 이해하기 어려운 프로그램 구조를 시도했고, 실수와 수정, 도전을 끊임없이 반복했다. 이미 손에 익숙해 쉽게 할 수 있는 게 아닌, 이런 불편한 연습과 도전이 실력을 빠르게 끌어올릴 수 있었다.
둘재, Engagement.
단순한 연습은 오래 지속될 수 없다. 성장의 쾌감이 느껴져야 몰입이 유지된다.
게이츠는 지속되는 코딩 작업에서 성장하고 있다는 짜릿한 느낌을 느꼈다. 마치 게임처럼 계속 다음 단계로 나아가고 싶었고, 이런 몰입감이 그를 버티게 하였다.
몰입은 의지만으로 유지되기 어렵다. 즉각적인 피드백과 가시적인 진전을 느낄 때,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몰입 상태에 들어간다.
셋째, Purposefulness.
많은 사람들이 ‘열심히’ 한다. 그러나 열심히 하는 것과 의미있게 하는 것은 다르다.
많은 이들이 열심히 하면서, 정작 자신이 무엇을 잘하고 싶은지를 명확히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이럴 경우, 연습은 방향을 잃고 에너지만 소모될 수 있다.
게이츠는 당시 마이크로소프트를 꿈꾼 건 아니었지만, 최고의 프로그래머가 되겠다는 명확한 목표가 있었고, 이러한 목표에 부합하는 기술과 문제들을 집중적으로 섭렵했다. 연습의 방향과 목적이 분명할수록 실력은 더 빠르게 자란다. 연습이 목표와 일치할 때, 효율은 극대화된다.
넷째, Strong, Speedy Feedback.
게이츠는 매번 코드를 짜자마자 실행해 결과를 바로 확인했다. 성공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고, 실패하면 즉시 수정했다. 이런 즉각적이고 실시간 피드백이 그의 실력을 놀라울 정도로 빠르게 끌어올렸다.
지연된 피드백은 몰입을 떨어뜨리고, 학습 효과를 희석시킨다. 하루만 지나도 왜 잘못됐는지 기억이 흐려진다. 즉각적인 피드백은 항상 지금 내가 뭘 잘못했는지를 짚어주고, 실수를 빠르게 학습으로 전환시켜준다.
"REPS를 완성하는 마지막 조각, 자기 피드백"
REPS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선, 하나가 더 필요하다. 바로 자기 테스트(Self-Testing)이다.
단순히, 그리고 무수히 연습만 반복하는 게 아니라, 자신의 성과를 스스로 체크하고 피드백하는 습관이 있어야 한다.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부담이 없는 형태로 스스로에게 테스트를 꾸분히 반복하는 사람들이 훨씬 더 빠르게 학습한다. 자기 테스트는 학습 속도를 비약적으로 높일 뿐만 아니라 학습의 기억을 오랫동안 선명하게 유지시킨다.
예컨대, 당신이 영업실력을 키우고 싶은 영업사원이라고 하자. 하루에 10통의 콜드 콜을 무수히 반복한다고, 실력이 자동으로 늘지 않는다. 하지만 매 통화 후에 다음과 같이 스스로를 평가한다면 어떻게 될까?
• 왜 이 고객은 거절했을까?
• 내가 고객의 니즈를 빠르게 캐치하지 못했나?
• 분위기를 반전시킬 기회를 놓쳤는가?
이런 자가 피드백이 반복된다면, 짧은 시간 안에 실력이 신속하게 향상될 수 있다.
"끊기있게 반복하는 자가 이긴다. 단, '의도를 가진 반복'이어야 한다."
실력은 시간의 함수가 아니다. 막대한 시간을 투입한다고 그만큼 실력이 갖춰지는 게 아니다. 어떻게 연습하고, 어떻게 시간을 활용했느냐가 중요하다. 평균을 뛰어넘는 탁월함을 체득하고 싶다면 의도를 가지고, 반복하라.
Source: JEFF HADEN (Mar 18, 2025), "Want to Be Remarkably Successful? What You Must Know From Bill Gates’s New Book", Inc. (ChatGPT 활용 정리)
댓글 없음:
댓글 쓰기